어느 추운 겨울날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남학생들이 각각 여자 친구와 강변을 걸으며 데이트를 하고 있었다. 계절이 계절인지라 몸을 잔뜩 움츠리고 걷던 여대생들, 애교스럽게 한마디 했다. “자기야~ 나 추워~” 이 말을 들은 각 학교 남학생들의 반응은 어땠을까? 우선 연세대 남학생들은 “저런~ 코가 빨갛네. 많이 춥구나? 잠깐만 기다려……” 라며 얼른 자신의 웃옷을 벗어서 여학생 어깨에 걸쳐준다. 한편 고려대 남학생은 “춥다고? 그럼 우리 열나게 뛰자! 하나, 둘, 하나, 둘…”하며 힘차게 구령을 붙인다. 마지막으로 서울대 남학생들은 어땠을까? “그래? 나도 추워……”라며 같이 어깨를 움츠린다. 독자들은 이미 눈치를 챘을 것이다. 조금 과장되긴 하지만 서울대는 머리형, 연세대는 가슴형, 고려대는 장형의 기질을 갖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타고난 성격으로 승부하라> 38~39 page |
장형(8,9,1번유형)
행동(본능) 중심. 다른 사람을 통제, 지배하려는 욕구가 많아서 자신의 힘과 영역을 방어하고
확장하는데 관심을 가진다. 이러한 행동의 밑바탕에는 약해져서 공격 받거나 힘에 억압
당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가 깔려 있다.
가슴형(2,3,4번유형)
감성(느낌) 중심. 남들에게 인정 받으려는 욕구가 많아서 겉으로 보여지는 이미지에 관심을 가진다.
이러한 행동의 밑바탕에는 가치를 인정받지 못해서 소외당하거나 경쟁에서 낙오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수치심이 깔려 있다.
머리형(5,6,7번유형)
이성(사고)중심. 안전을 지키고 대비하려는 욕구가 많아서 안정된 일이나 새로운 정보를 쌓는데
관심을 가진다. 이러한 행동의 밑바탕에는 무지해서 위험에 처하거나 보금자리를 침해 당하는
것에 대한 공포와 불안감이 깔려 있다
'난 머리형이지만 말이 많고, 상대방을 제법 귀찮게 하는데' 장형이 아닐까?
이런 의문을 풀어주는 두번째 분류로 공격형, 움츠림형, 순응형로 나눈다.
이는 사람들과 갈등이 생길 경우 자기표현의 방법에 따라 나눈다. 쉽게 말하자면
같은 머리형이라도 자기의사전달이 확실한 사람이 있고, 조심스럽고 소극적인 사람이 있다.
또는 적절하게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이 있다. 같은 가슴형이면서도
자신의 감정표현에 열을 올리는 사람이 있고, 조심스레 표현하는 사람도 있다.
공격형(3,7,8번유형) - 사람들에게 대항하는 형(적극적)
'나는 여기서 누구보다 중요한 사람이다.'
움츠림형(4,5,9번유형) - 사람들에게 향하는 형(내면의세계)
'나는 이 일에 말려들지 않을 거야. 나는 이 사람들과 달라. 나는 여기에 적합하지 않아'
순응형(1,2,6번유형) - 사람들로부터 물러나는 형(상호의존성)
'내가 어떻게 하면 다른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까?'
그림으로 알기쉽게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
|
장형 | |||||||||
|
|
|
가슴형 | |||||||||
|
|
|
머리형 | |||||||||
공격형 |
움츠림형 |
순응형 |
간단한 예를 들죠, 한 남자와 여자친구가 함께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여자왈 "정말 감동적이었어, 여자주인공이 마지막에 행복하게 끝나서 다행이야" (가슴형)
남자왈 "스필버그 영화라서 멋져, 60억을 영화에 투자했데, 100만 돌파할지도 몰라" (머리형)
여자왈" 우리 영화이야기말고 다른거 할래?" (움츠림형)
남자왈" 아! 그래 뭐좀 먹으면서 내이야기 계속들어보라고" (공격형)
남자는 7번 유형, 여자는 4번유형일 가능성 크죠; 이건 극단적이 예이고요,
그 사람의 평소 풍기는 이미지를 생각해보면 될 것 같아요;
P.S.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이야기였고요, 너무 분석하면서 살지는 마세요;
이론과 실제는 많이 다른거 알죠? 좋게 좋게 살아야죠.
항상 상대방에 대한 포용력을 기르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됩니다.
다만, 연인끼리 또는 친구끼리 서로 좋아하는데도 툭하면 우린 싸운다? 뭔가 안맞는다.
이럴경우 에니어그램으로 상대방 유형을 이해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